전체 글 161

[wookiist] 프로그래머스 Data Engineering 스터디 후기

시작에 앞서, 본 스터디는 모두 제 사비로 구매하여 수강한 것임을 먼저 밝힙니다! 데이터 엔지니어..?! 이번에 데이터 엔지니어로 합류하게 된 후, 여러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. 특히, 지금까지 해오던 분야와 전혀 다른 Data라는 분야에 어떻게 적응하고 익혀가야할까 하는 고민이 정말 컸던 것 같아요. 더구나 저는 SQL도 정식으로 강의를 들어본 적이 없다보니, 무엇부터 해야하는지조차도 여러 소스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. 그래서 여러 인터넷 강의(패X트캠퍼스, 인X런)를 구매하고, 하나하나 들어가기 시작했어요. 헌데, 문제는 강사님들의 강의 스타일도 저와 잘 맞지 않았고, 강의 내용이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낮은 수준인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. 강사님 음성보다 배경 음악이 더 큰 경우도 있었고, 전달력이..

욱이야기/욱이 2022.01.01

[후기] '에어비앤비 엔지니어가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이유' 영상을 보고 나서

Prologue 8월 1일 이후, 블로그에 포스트를 올리지 못했습니다. 개인적인 성장을 위해 바쁘게 살다보니 생각을 정리할 새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. 오랜만에 작성한 이 글은 유튜브 EO 채널에서 에어비앤비 유호현 엔지니어님을 인터뷰한 '에어비앤비 엔지니어가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이유'란 영상을 보고 정리하였습니다. 지금까지 회사 생활을 하면서 느꼈던 원인 모를 답답함이 무엇이었는지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. 그리고 많은 한국의 회사들이 실리콘밸리 문화를 따라한다고 해도 혁신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도 느낄 수 있었습니다. 이번 글을 보시고 나서 영상을 꼭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🙂 Role-driven vs. Rank-driven 영상의 주된 내용은 Role-driven 조직과 R..

욱이야기/욱이 2021.09.25

[Kubernetes] Kubernetes Study: "Pod - Lifecycle"

Prologue 본 포스트는 인프런 쿠버네티스 스터디 그룹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자료의 일환으로 작성하였습니다. 기본적으론 [대세는 쿠버네티스] 강의를 보고 내용을 정리합니다. 그리고 제 경험이나 이해를 곁들여 포스트를 작성했습니다. 그동안 공식 문서나 블로그 포스트, CKA 강의 등 다양한 경로로 쿠버네티스를 익혀왔지만, 한국어로 잘 정리된 강좌를 한번 듣고 깔끔하게 다듬어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강의와는 조금 다를 수 있지만,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를 보고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. 이번 포스트에선 "Pod - Lifecycle" 강의를 듣고 정리한 포스트입니다. Pod 라이프사이클 사람이 태어나서, 성장하고,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 과정처럼, 파드에게도 정의된 라이프사이클이 있습니..

IT/Kubernetes 2021.08.01

[DevOps/번역글] Helm vs Kustomize: 어떻게 배포할 것인가?

Prologue 패키징 작업을 하다보면 Helm과 Kustomize를 사용하는 예제들을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정작 둘의 차이점은 명확하게 알지 못한 채, "그냥 클러스터에 패키지 배포 쉽게 해주는 녀석 아니야?"라는 추상적인 개념만 갖고 있다면, 오늘 이 글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. 과연 Helm, Kustomize는 무엇이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 걸까요? 그리고 둘 다 비슷한 역할을 한다면, 무엇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까요? 오늘 포스트에선 이 두 엔진을 비교해본 좋은 글을 소개합니다. Helm vs Kustomize: How to deploy your applications in 2020? 본 포스트는 위 글을 읽고 번역한 글임을 밝힙니다. Introduction 한 때, Helm..

IT/DevOps 2021.07.24

[Kubernetes] Kubernetes Study: "컨트롤러 - DaemonSet, Job, CronJob"

Prologue 본 포스트는 인프런 쿠버네티스 스터디 그룹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자료의 일환으로 작성하였습니다. 기본적으론 [대세는 쿠버네티스] 강의를 보고 내용을 정리합니다. 그리고 제 경험이나 이해를 곁들여 포스트를 작성했습니다. 그동안 공식 문서나 블로그 포스트, CKA 강의 등 다양한 경로로 쿠버네티스를 익혀왔지만, 한국어로 잘 정리된 강좌를 한번 듣고 깔끔하게 다듬어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강의와는 조금 다를 수 있지만,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를 보고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. 이번 포스트에선 지난 시간에 이어 컨트롤러의 마지막 내용. "컨트롤러 - DaemonSet, Job, CronJob"을 다뤄봅니다. DaemonSet 데몬셋은 모든(또는 일부) 노드가 파드의 복제본을 실..

IT/Kubernetes 2021.07.12

[Kubernetes] Kubernetes Study: "컨트롤러 - Deployment (feat. Canary)"

Prologue 본 포스트는 인프런 쿠버네티스 스터디 그룹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자료의 일환으로 작성하였습니다. 기본적으론 [대세는 쿠버네티스] 강의를 보고 내용을 정리합니다. 그리고 제 경험이나 이해를 곁들여 포스트를 작성했습니다. 그동안 공식 문서나 블로그 포스트, CKA 강의 등 다양한 경로로 쿠버네티스를 익혀왔지만, 한국어로 잘 정리된 강좌를 한번 듣고 깔끔하게 다듬어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강의와는 조금 다를 수 있지만,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를 보고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. 이번 포스트에선 지난 시간에 소개해드린 ReplicaSet에 이어 "컨트롤러 - Deployment"를 다뤄봅니다. Deployment 디플로이먼트는 지난 시간에 소개드린 ReplicaSet을 추상화한 ..

IT/Kubernetes 2021.07.11

[Kubernetes] Kubernetes Study: "컨트롤러 - ReplicaSet"

Prologue 본 포스트는 인프런 쿠버네티스 스터디 그룹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자료의 일환으로 작성하였습니다. 기본적으론 [대세는 쿠버네티스] 강의를 보고 내용을 정리합니다. 그리고 제 경험이나 이해를 곁들여 포스트를 작성했습니다. 그동안 공식 문서나 블로그 포스트, CKA 강의 등 다양한 경로로 쿠버네티스를 익혀왔지만, 한국어로 잘 정리된 강좌를 한번 듣고 깔끔하게 다듬어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강의와는 조금 다를 수 있지만,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를 보고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. 이번 포스트에선 "컨트롤러 - Replication Controller, ReplicaSet"을 다뤄봅니다. 다만, ReplicationController는 ReplicaSet의 레거시 개념이므로, Re..

IT/Kubernetes 2021.07.10

[DevOps/번역글] Github Actions냐 Jenkins냐! 올바른 선택을 해봅시다

시작하기에 앞서, 본 포스트는 "Github Actions or Jenkins? Making the Right Choice for You" 를 읽고 한국어로 정리하기 위해 쓴 번역 글입니다. 오역이 있거나 미숙한 번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. 많은 지적질 부탁드립니다! 지난 몇 년간, DevOps는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에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습니다. 이는 곧 현재 주도적인 많은 DevOps 도구와 경험을 만들었습니다. CI/CD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다양한 도구를 찾을 수 있겠지만, Jenkins와 GitHub Actions는 그 중에서도 압도적으로 우뚝 선 도구입니다. 이 글에서는 GitHub Actions와 Jenkins를 비교해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합니다. Jenkins와..

IT/DevOps 2021.07.04

[DevOps] ArgoCD Slack Notification 설정하기

2022.01.01 업데이트 - 명령어 순서와 내용의 흐름, 가독성을 위해 수정 및 업데이트하였습니다. Prologue ArgoCD를 사용하게 된 이래로, 재배포나 자동 배포에 대한 불편함이 많이 사라졌습니다. 팀 DevOps 파이프라인의 CD 쪽의 개선이 이루어져서 사용하시는 분들께서도, "이젠 이 파이프라인 없으면 못 살 것 같다" 라는 말씀도 종종해주시는 걸 보면 뿌듯합니다 😝 오늘은 ArgoCD에 정의한 애플리케이션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전달 받을 수 있도록 Notification을 설정해보고자 합니다. ArgoCD는 Email, GitHub, Slack, Grafana, Webhook, Telegram, Teams 등의 다양한 알림 채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 [참고] 많은 채널 중에 오늘은 Sl..

IT/DevOps 2021.07.03

[Kubernetes] Kubernetes Study: "기본 오브젝트 - Namespace & ResourceQuota & LimitRange"

Prologue 본 포스트는 인프런 쿠버네티스 스터디 그룹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자료의 일환으로 작성하였습니다. 기본적으론 [대세는 쿠버네티스] 강의를 보고 내용을 정리합니다. 그리고 제 경험이나 이해를 곁들여 포스트를 작성했습니다. 그동안 공식 문서나 블로그 포스트, CKA 강의 등 다양한 경로로 쿠버네티스를 익혀왔지만, 한국어로 잘 정리된 강좌를 한번 듣고 깔끔하게 다듬어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강의와는 조금 다를 수 있지만,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를 보고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. 이번 포스트에선 마지막으로 "기본 오브젝트 - Namespace & ResourceQuota & LimitRange"를 다뤄봅니다. Namespace & ResourceQuota & LimitRange ..

IT/Kubernetes 2021.06.30